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는 독성 및 산화 반응에 대한 세포 방어를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산화적 스트레스 반응이나 약물 해독에 관련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 NRF2 활성화는 세포가 화학적 발암물질이나 염증 자극에 저항성을 갖게 하고, 항산화 반응 및 대사와 염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 과정에 관여한다.
위 그림은 NRF2, KEAP1, βTrCP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 대해 설명하자면 :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 basic leucine zipper (bZIP)을 가지는 Cap’n’Collar (CNC)의 subfamily이다.
- NRF2-ECH homology (Neh) domain 7개를 가지며, 이는 NRF2의 전사 활동을 조절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 bZIP domain의 일종인 Neh1 domain은 NRF2 타겟 유전자의 antioxidant response element(ARE) 부위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 반면, Neh2 domain은 KEAP1의 Kelch domain과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한다.
- Neh6 domain의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에서 NRF2 분해를 매개하는 βTrCP과 관련있다.
- Neh7 domain은 NRF2 활성을 억제하는 retinoic X receptor alpha (RXRα)와 상호작용한다.
- 나머지 domain은 NRF2의 전사 활성 domain이며, Neh4와 5는 HRD1과 상호작용하며, NRF2의 분해를 억제한다.
ECH(Erythroid cell-derived protein with CNC homology)
=> 적혈구 발생과정에서 발현되는 단백질로, 적혈구 분화에 관여한다.
Kelch-like-ECH-associated protein 1 (KEAP1)
- KEAP1은 NRF2 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5개의 domain을 포함한다.
- N-terminal region (NTR) : 구조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 a broad complex, tramtrack, bric-a-brac (BTB) domain : IVR domain의 상호작용을 돕는다.
- an intervening region (IVR) : Cul3/RBX1 복합체와 상호작용한다. Cul3/RBX1 복합체는 NRF2 분해에 역할한다.
- six Kelch domains, C-terminal region (CTR) : NRF2 등의 단백질들과 상호작용한다.
β-transducin repeat-containing protein (βTrCP)
- βTrCP는 NRF2의 안정성을 낮추고, 활성을 억제하며, 3개의 domain을 가진다.
- D domain : βTrCP1과 βTrCP2의 이량체 형성에 관여한다.
- F-box domain : Cul3/RBX1 복합체와 상호작용한다.
- WD Repeat protein 40 domain : NRF2의 서열을 인식해 결합한다.
Nrf2 Signaling Pathway
정상 생리적 상태에서는 NRF2는 KEAP1에 의해 억제되어 있다. 하지만, 산화적 스트레스나 화학적 자극으로 KEAP1에서 분리되어 핵 내로 이동한다. 또한 핵 내에서 ARE 부위에 결합하여 다양한 항산화, 해독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세포 손상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위는 Nrf2 signaling pathway를 간단히 나타낸 도식이다.
이처럼 산화적 스트레스 등으로 Keap1과 결합되어 있던 Nrf2가 분리되어 활성화되면,
핵으로 가 ARE에 결합해 항산화 효과를 내는 여러 유전자들을 조절하게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기초상식] cell viability를 보는 법 (0) | 2024.06.27 |
---|---|
[연구기초상식] 실험에서 PBS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4.06.26 |
[MAPK pathway] The JNK MAPK module (0) | 2024.06.21 |
[MAPK pathway] The p38 MAPK Module (0) | 2024.05.09 |
[MAPK pathway] The ERK1/2 modules (0) | 2024.04.09 |